2025년도 영호남 공동학술대회
지역 균형발전과 새마을 운동의 미래
(2025.7.30.)
▣ 행사 개요
○ 일 시 : 2025. 8. 13(수) 13:30 ~ 14(목) 13:00 (1박 2일)
○ 장 소 : 경북 청도군 신화랑풍류마을
○ 주 최 : (사)한국정부학회, (사)한국거버넌스학회, 청도군, 대구대학교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, 경북대학교 도시재생학과, 경북대학교 공공문제연구소, 전남대학교 공공행정연구소, (사)한국비교정부학회, 전북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
○ 후 원 : 한국부동산원
○ 주 관 : (사)한국정부학회, 대구대학교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
▣ 프로그램
2025.8.13.(수) | ||||||
구분 |
| 제1분과 | 제2분과 | 제3분과 | 제4분과 | 제5분과 |
장 소 | (대강당) | (1세미나실) | (다목적홀) | (6세미나실-사친이효) | (10세미나실-화랑쉼터) | |
13:00~13:30 | 등 록 |
| ||||
13:30~ | 개회식 (대강당) | 개회사 : 김태운 한국정부학회장 대회사 : 김대성 한국거버넌스학회장 환영사 : 김하수 청도군수 축 사 : 송건섭 대구대학교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장
| ||||
14:00~15:30 (90분) | 제1회의 | <대구대학교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 I> 영·호남지역의 새마을운동 전개와 방향 (14:00-15:40) | <경북대학교 공공문제연구소> 산업과 행정의 변화 | <한국거버넌스 학회 I> 지방자치단체 성과와 실증연구 | <한국정부학회 I> 지방소멸 대응과 지역활력 회복 | 신진학자·대학원생 세션 |
(20분) | 휴 식 | Coffee Break | ||||
15:50~17:20 (90분) | 제2회의 | <대구대학교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 II> 청도군의 지역개발과 새마을운동 | 라운드테이블 | <한국거버넌스 학회 II>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 | <한국정부학회 II> 행정‧조직의 변화와 과제 | <한국비교정부학회> 1인 가구와 통합돌봄
|
17:30 | 폐회식 |
| ||||
18:00~19:30 | 만 찬 | 화랑식당(신화랑풍류마을 內) | ||||
|
|
| ||||
2025.8.14.(목) | ||||||
~09:00 | 조 찬 | 아라맛집(신화랑풍류마을 인근) | ||||
09:00~09:30 | 문화체험 | 문화체험(신화랑풍류마을 - 국궁) | ||||
10:00~11:30 | 현장답사 | 새마을 발상지 기념공원 및 청도읍성 답사 | ||||
11:30~13:00 | 오 찬 | 청도 한재미나리 |
2020.08.13.(수)
| ||
13:00~13:30 등 록 (*자료집과 명찰은 각 분과 회의실에 비치) | ||
| ||
13:30~14:00 개회식 | ||
| ||
| 개회사 | 김태운 한국정부학회장 |
| 대회사 | 김대성 한국거버넌스학회장 |
| 환영사 | 김하수 청도군수 |
| 축 사 | 송건섭 대구대학교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장 |
|
|
|
14:00~15:30 [제1회의] | ||
| ||
14:00~15:40 [제1분과] 대구대학교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 I: 영·호남지역의 새마을운동 전개와 방향 (대강당) | ||
| 사회 | 이상엽(건국대) |
| 발표/ 토론 | 서영화(대구대), 영남지역 새마을운동의 전개와 방향: 경상북도·청도군을 중심으로
전인주(청도군 새마을회) 이화일(청도군) 이승철(대구대,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) |
| 이광희(한밭대), 호남지역 새마을운동의 전개와 변화: 지속가능성을 위한 과거·현재·미래 조망
노영희(건국대) 기화서(우리정신문화재단) 김동신(대구대,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) | |
| 송건섭(대구대,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), DMR토픽분석 기반으로 본 청도군 지역축제 이슈 경향 분석: 새마을 페스티벌 제안
박창목(새마을직공장협의회) 박준익(새마을문고회) 송근진(청도군 가족센터) | |
|
|
|
14:00~15:30 [제2분과] 경북대학교 공공문제연구소: 산업과 행정의 변화 (1세미나실) | ||
| 사회 | 윤광재(영남대) |
| 발표 | 진상현(경북대), 산업혁명의 동력에 대한 비판 최종민(계명대), 지방행정구역체제 개편의 효과: 창원특례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하영(영남대) From Thought to Action: 이직의도의 단계적 속성과 조용한 사직에 관한 탐색적 연구 |
| 토론 | 배경화(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) 박선주(경북대) 김경아(전북대) |
|
|
|
14:00~15:30 [제3분과] 한국거버넌스학회 I: 지방자치단체 성과와 실증연구 (다목적홀) | ||
| 사회 | 김병록(목포대) |
| 발표 | 방백두(여수시의회)/김준형(순천대), 도시재생사업의 거버넌스 특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비교사례연구 :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을 중심으로 유상미(목포대), 기초자치단체 직제 순위 조정 기준의 정립을 위한 실증 연구 : AHP 분석을 통한 평가항목 도출 |
| 토론 | 김선명(순천대) 박찬영(목포대) |
|
|
|
14:00~15:30 [제4분과] 한국정부학회 I: 지방소멸 대응과 지역활력 회복 (6세미나실-사친이효) | ||
| 사회 | 오정일(경북대) |
| 발표 | 임태경(계명대), 비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본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청년인구 유입효과 연구: 경상권역을 중심으로 김은혜, 박은미 (경북여성정책개발원), 경상북도 저출생 극복을 위한 청년 정책 과제 임재훈(한국섬진흥원), 성장촉진지역 지정과 지역간 격차 관계 분석 |
| 토론 | 권성문(대구대) 황성수(영남대) 이규태(한국부동산원) |
|
|
|
|
|
|
14:00~15:30 [제5분과] 신진학자·대학원생 세션 (10세미나실-화랑쉼터) | ||
| 사회 | 최연태(경남대) |
| 발표 | 이창관(경남연구원),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환경쿠즈네츠 곡선 검증과 영향요인 분석 이유성(한국교육학술정보원), 지역균형발전 수단으로서의 지역인재목표제: 쟁점과 과제 김강산(성균관대 박사수료)/윤기웅(국립경국대), 법적거버넌스의 실패 요인에 관한 연구: 이태원 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|
| 토론 | 오수미(경북연구원) 김선영(경북대) 최진식(국민대) |
|
|
|
(휴 식) | ||
15:50~17:20 [제2회의] | ||
15:50~17:20 [제1분과] 대구대학교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 II: 청도군 지역개발과 새마을운동 (대강당) | ||
| 사회 | 김정헌(대구대) |
| 발표/ 토론 | 서정욱(대구대,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) / 김동욱(성균관대 대학원), 새마을운동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청년참여 확대를 위한 연구 I
김희엽(새마을회사무국장) 김종명(청도군 청년연대) |
김선영(경북대), DMR 분석을 통한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토픽 변화에 따른 정책적 함의
박길환(대구대,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) 박은미(경북여성정책연구원) | ||
| 권성문(대구대,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), 청도군 빈집 활성화 방안
이재호(울산연구원) 장명준(대구대, 청도군 새마을운동연구센터) | |
|
|
|
15:50~17:20 [제2분과] 라운드테이블(Round Table) (1세미나실) | ||
| 사회 | 최근열(경일대) |
| 발표 | 김흥회(동국대), 미학으로서의 행정학 |
| 토론 | 박기묵(대구대) 이환범(영남대) 이시철(경북대) 김선명(순천대) 윤은기(동아대) 김대성(한국거버넌스학회장, 전남연구원) 김태운(한국정부학회장, 경북대) 황성수(영남대) |
|
|
|
15:50~17:20 [제3분과] 한국거버넌스학회 II: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 (다목적홀) | ||
| 사회 | 서준교(전남대) |
| 발표 | 심미승(전남대), 기후위기 속 주거취약 노인의 삶과 정책적 과제 오선정(전남대), 인공지능 기반 통계적 유형화의 가능성과 한계 정수연(산업인력공단),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성과와 과제 |
| 토론 | 송충근(전남대) 이병현(전남연구원) 문상균(한국직업능력연구원) |
|
|
|
15:50~17:20 [제4분과] 한국정부학회 II: 행정‧조직의 변화와 과제 (6세미나실-사친이효) | ||
| 사회 | 최준호(영남대) |
| 발표 | 이승철(대구대), 지방의원의 행동강령 현황과 개선방안: 징계를 중심으로 정유경(고려대) / 송종대(국립경국대), 공동 생산을 위한 경계조직의 운영 조건과 과제: 구성원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분석 정도준(공군사관학교), 상징과 제도로서의 균형발전과 정책 동형화 |
| 토론 | 노영희(건국대) 이광희(한밭대) 윤기웅(국립경국대) |
|
|
|
|
|
|
|
|
|
15:50~17:20 [제5분과] 한국비교정부학회: 1인 가구와 통합돌봄 (10세미나실-화랑쉼터) | ||
| 사회 | 이상엽(건국대) |
| 발표/ 토론 | 장헌일(한국공공정책개발연구원장), 초저출생․초고령사회 1인 가구 연령대에 따른 맞춤형 돌봄통합 정책 방향
송건섭(대구대) 최영출(충북대) 최에스더(신한대) 박은수(삼육대) 정소명(전북대) |
| 이정은·이규태(신한대) / 현보람(한국체육대), 국내 독거노인의 고립 및 외로움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
김동신(대구대) 윤성호(전북대) 김지은(국민대) 정혜경(월드뷰티핸즈) 김주연(신한대) |